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다운로드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Down TO
- ceden320
- 2020년 12월 6일
- 3분 분량
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다운로드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Down
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다운로드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하이트진로
글로벌경영전략 사례연구
INDEX
Ⅰ. 서론
1. 하이트진로 기업소개
2, 하이트진로 기업선정배경
Ⅱ. 본론
1. 하이트진로 해외시장 진출배경
(1) 하이트진로의 시장개척
(2) 일본시장 진출배경(3) 중국시장 진출배경
2. 일본진출 전략분석
(1) 현지화 전략
(2) 차별화 전략
(3) 유통구조의 확보
(4) 하이트진로 일본에서의 성공요인
3. 중국 진출 전략
(1) 소비자 성향고려한 전략
(2) 글로컬 전략
(3) 한류 전략
(4) 하이트진로 중국에서의 성공요인
Ⅲ. 결론
1. 두기업의 전략 비교분석
2. 시사점
`참고문헌`
Ⅰ. 서론
1. 하이트진로 기업소개
국내 술 시장에서 진로 참이슬의 시장 점유율은 50% 이상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국내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 1위 증류주 메이커로서 이미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보이고 ...
하이트진로
글로벌경영전략 사례연구
INDEX
Ⅰ. 서론
1. 하이트진로 기업소개
2, 하이트진로 기업선정배경
Ⅱ. 본론
1. 하이트진로 해외시장 진출배경
(1) 하이트진로의 시장개척
(2) 일본시장 진출배경(3) 중국시장 진출배경
2. 일본진출 전략분석
(1) 현지화 전략
(2) 차별화 전략
(3) 유통구조의 확보
(4) 하이트진로 일본에서의 성공요인
3. 중국 진출 전략
(1) 소비자 성향고려한 전략
(2) 글로컬 전략
(3) 한류 전략
(4) 하이트진로 중국에서의 성공요인
Ⅲ. 결론
1. 두기업의 전략 비교분석
2. 시사점
`참고문헌`
Ⅰ. 서론
1. 하이트진로 기업소개
국내 술 시장에서 진로 참이슬의 시장 점유율은 50% 이상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국내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 1위 증류주 메이커로서 이미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진로는 새로운 이벤트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소비자의 트렌드에 발맞추어 가는 한편,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최고의 제품을 개발 및 품질개선을 하는 동시에 매화수와 같은 다양한 주종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사랑받는 국민기업으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지켜가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 외의 보산 및 경남지역에서 약세를 보이고, 저도주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참이슬 fresh’를 선보인 진로는 소주의 한계도수인 20도의 벽을 허물어 버렸다. 부담 없고 깨끗하고 깔끔한 맛 때문에 앞으로 저도주 시장에서의 활약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주세법 개정으로 시장의 장벽이 낮아지고 주정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가격인상으로 위협요인이 있지만 현재 월드스타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싸이를 모델로 사용하면서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또한 지금 일본시장으로의 진출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어 앞으로의 진로의 발전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2, 하이트진로 기업선정배경
14년을 기준, 한국 성인들은 1주간 평균 13.7잔을 마셔 2위에 오른 보드카의 나라라고 불리우는 러시아(6.3잔)보다 2배 이상 더 마신다는 결과가 나왔다. 굉장히 높은 수치다. 어쩌다가 우리나라는 술을 많이 마시게 된 것일까 우리나라는 독특하게 잦은 회식으로 인한 음주문화가 발달했고, 더욱 독특하게도 술을 섞어 마시는 ‘폭탄주’ 문화가 발달해있다. 이것이 과연 직장인들에게만 국한된 문화인 것일까
이는 대학생들에게도 해당 될 것이다. 대학생활을 하면서 술을 ‘마셔본 사람’은 있어도, ‘안마셔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일반적인 인식으로 어느새 MT로 불리는 학술세미나는 ‘술 마시러 가는 곳’이 되어버렸다. (심지어는 MT를 M(먹고) T(토하고)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신학기에 이르러 우리는 신입생 환영회, OT, 개강파티, 개강총회 등 많은 명목 하에 우리는 술을 마시게 된다. 이 보고서는 그러한 실태에 대해서 생각하던 도중 수업중의 내용과 결부시켜서, ‘우리나라에서는 활발히 흥행하고 있는 소주와 맥주 등 주류 산업이 해외에서는 얼마나 잘 흥행하고 있을까’에 질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주류 시장에 큰 기업들을 살펴보자면, 소주 시장에서 부동의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참 주세요’ 라고 말해본 사람이라면 모두가 알만한 기업인 ‘하이트진로’와 ‘카스’로 유명한 오비맥주, 막걸리로 유명한 ‘국순당’ 등의 기업이 있었다. 이 중 소주와 맥주 시장에 둘 다 뛰어든 기업은 ‘하이트진로’ 뿐 이었다.
그렇다면 과연 ‘하이트진로는 국내에서도 잘 팔리고 있는데, 이웃 국가인 일본과 중국에서는 얼마나 잘 팔리고 있으며, 어떠한 전략을 펼치고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이 주제를 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하이트진로 해외시장 진출배경
(1) 하이트진로의 시장개척
진로는 1962년 한국 최초로 맥주 수출을 시작하였다. 1968년 베트남을 기점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으며, 베트남에서 동남아국가로 확장해나갔고, 73년 서독, 75년 미국에 이어 77년 일본시장에 진출했다.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외 전 세계 60여개 주요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2) 일본시장 진출배경
진로가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된 계기는 기업성장을 위해서는 사업다각화와 함께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전사적 차원에서의 전략추진이었다. 특히 주력상품인 소주의 국내 판매는 성장의 한계에 다다라 돌파구를 해외시장에서 찾아야 했고 현실적으로 일본 밖에는 접근 가능한 큰 시장이 없었다. 그러나 일본시장은 난공의 아성이었다. 사전에 시장조사도 하고 나름의 판촉계획을 세웠지만 반응은 기대에 못 미치는 냉담이었다. 1차로 실어낸 물량조차 팔리지가 않아 물류창고에 궤짝 째로 쌓인 채 먼지를 써야 했다. 일본 입맛에 맞는 진로소주를 만들어야 했다. 원점부터의 제품연구로 돌아가 실험에 실험을 반복하여 마침내 새로운 `JINRO` 소주가 탄생시켰다.
고품질 고가정책으로 `고급`이미지 확립 판매 전략도 전환했다. 앉아서 찾아 주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를 찾아 나서는 공세적인 방식이었다. 진로의 일본 측 총판(도매상)을 맡은 가시마 주류회사 직원들은 두 세명씩 짝을 지어 도쿄 시내 술집들을 돌며 판촉을 개시했다고 한다. 맹렬한 일선업소 파고들기 전략으로 서서히 효과가 나타났다. 연간 4천상자(4만8천병) 수준이던 판매실적이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입에서 입으로 `진로`가 전파되며 가속이 붙어 84년이 전환점으로, 일본시장의 점유율을 조금씩 늘여 가고 있던 것이다
1) 국내 상황분석
1-1 장기적 경기 불황
아시아 경제 2008.07.03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8070310555586592
Insight of GS Caltex
http://www.insightofgscaltex.com/p=3012
1960~70년대 한국은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만큼 성장이 급증하였고, 어느 정도 경제가 발전기에 접어든 시기였
[문서정보]
문서분량 : 2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다운로드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파일이름 : [하이트진로 글로벌전략 사례연구]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해외진출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석 레포트.hwp
키워드 : 하이트진로,글로벌전략,사례,기업과,해외진출전략,성공요인,레포트,사례연구,다운로드,기업분석과
자료No(pk) : 1509065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