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보고서 XA
- ceden320
- 2020년 12월 17일
- 2분 분량
포스트모더니즘 보고서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알아보고 교육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앞으로 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12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단정적으로 정의내리기는 어렵다. 실제로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학, 음악, 예술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으며, 이들 영역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는 것에 대한 많은 예들이 있지만 이러한 것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데는 별 도움이 안 될 뿐더러 일치된 견해도 없다. 어쩌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 자체가 포스트모더니즘의 메시지 - 지식을 분류하거나, 단일화하거나, 하나의 틀 속으로 묶는 것 등에 반대하는 입장 - 에 배치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간단히 말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회의와 도전을 하면서 20세기 후반에 들어 뚜렷하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문화 상황, 의식, 상태 혹은 삶의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선명한 특정의 철학적, 정치적, 미적 운동이라기보다는 20세기 후반의 사상과 실제의 복합적인 구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과거 모더니스트들은 전통적 자유 이념과 이성을 옹호하는 반면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보편적 진리, 권력과 분리된 지식의 존재에 대해 회의를 갖게 되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대서사에 대한 거부, 곧 해체를 주장하며 모더니즘의 이념, 거시적 일반 이념들을 다양하고 이질적인 ‘작은 이야기들’에 의해 대치되어야 한다고 한다.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에 따르면 유일무이한 진리는 없으며, 항상 그것은 부분적일 따름이고 불완전하다. 세계 그 자체나 사실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는 초월적 언어나 개념적 틀은 존재하지 않으며 세계나 사물은 우리가 만들어낸 언어와 개념에 의해 어떤 모습으로 파악되고 해석될 따름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은 일단의 사상 및 이론화의 한 방법일 뿐 아니라 실천화의 한 방법으로 문화의 각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90년대에 들어 등장한 신세대 문화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 양식에 젖어 있는 대표적인 모습이라 볼 수 있다. 철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이 이미 등장 하였으며 우리는 학생과 사회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 생활, 사고 양식에 젖어 있는 현실에서 교육이 어떻게 대응하여 교육 이론을 정립할 것인가의 과제를 갖는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포스트모더니즘
파일이름 : 포스트모더니즘_2090761.hwp
키워드 : 포스트모더니즘
자료No(pk) : 161541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