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발달 애착 보고서 CS
- ceden320
- 2020년 12월 7일
- 2분 분량
영유아발달 애착 보고서
영유아발달 애착
영유아발달 애착
보울비의 애착이론
애착이란
애착은 한 개인이 자신과 부모 및 대리 양육자 등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한 감정적 유대 관계를 뜻한다. 특정한 두 사람간에 형성되는 애정적 유대 관계이다.
애착은 근본적으로 선택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서 극히 소수의 제한된 대상에 대해서 형성되며, 애착이 형성된 대상에 대해서는 가까이 다가가고 싶고 근접해 있고 싶은 욕구를 갖게 된다.
애착의 기능과 발달적 중요성
첫째, 놀고 싶을 때뿐만 아니라 괴롭고 피곤하고 싫증나고 배고프고 아프고 두려울 때와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애착 대상에 접근하려 한다.
둘째, 다른 사람 보다 애착 대상이 유아를 잘 달래고 안정시킬 수 있다.
셋째, 유아는 애착 인물과 같이 있을 때 즐거워하고 낯선 대상을 접해도 불안을 덜 나타내고 애착 대상을 안전기지 삼아 주위환경을 탐색한다.
모든 유아는 1살 이내에 어머니, 아버지 및 그 외 한 두 명의 가까운 사람들과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하게 된다. 그밖에 유아는 형제자매, 조부모, 대리양육자, 탁아소의 보모, 또래들 그리고 타인들과의 상호작용 방식도 발달시킨다. 이런 초기의 애착 관계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과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청소년 비행이론에서도 긍정적인 성인과의 정서적 유대감은 비행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 소로 간주되고 있다.
최근에는 성인의 애착행동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보울비의 유아의 애착행동 발달 과정 4단계
1단계(생후 3개월까지)
아기의 애착 대상은 따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아기는 누구에게나 미소를 지으며, 누구든지 곁에서 떠나면 운다. 인간에 대해 무분별하게 반응하는 시기로 처음 3주 동안 생리적
현상으로서의 미소가 등장하고, 3주부터는 사회적 미소가 가능하다. 또한 파악반사, 모로반사 등의 타고난 반사들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2단계(생후 3개월-6개월)
낯익은 사람에게 초점을 맞춘다. 애착행동은 몇몇 익숙한 사람에게만 한정되고, 낯선 사람 은 경계한다. 타고난 각종 반사들이 사라지며, 영아는 자신의 필요와 요구에 가장 잘 응해 주는 대상에게 강한 애착을 형성한다.
3단계(6개월-3세)
아기는 보다 활동적이 되어 이리저리 기어다니며, 애착 대상을 가까이 하려고 적극적인 자 세를 보인다. 능동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시기로 격리불안이 나타난다.
아기는 부모가 갑자기 떠나려 하면 뒤따라가려고 한다.
4단계(3세 이후)
아동은 보호자의 목표, 감정, 입장을 이해하여 자기 행동을 그에 맞추기 시작한다. 그리하 여 보다 복잡하고 풍부한 관계가 성립된다. 자기와 양친이 떨어진다는 것은 일시적이며, 다시 돌아오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기다릴 줄 알게 되며, 동반자와 같은 관계로 행동하게 된다.
애착유형 및 애착행동 유형.
보울비는 애착의 내면화된 작용모델을 타인에 대한 내면화된 작용모델과 자신에 대해 내면화된 작용모델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서 긍정과 부정으로 구별하여 네가지 애착행동을 구별하였다.
유아는 대부분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지만 어머니의 아이의 접촉과 자극의 양, 아이의 욕구나 감정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의 민감성과 안정성, 어머니와 아이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유아가 애착 관계에서 느끼는 안정성 수준에는 개인차가 발생한다. 낯선 상황에서 유아가 어머니에게 보이는 행동양식과 어머니와 떨어져 있다가 다시 만날 때의 유아의 반응양식에 따라서 Ainsworth(1973)은 이를 안정애착, 불안정 회피 애착, 불안정 저항애착의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Main과 Solomon(1990)은 이에 불안정 혼돈 애착을 첨가하였다.
구분 유형
☞낯선 상황에서 함께 있을 때
☞떨어질 때
☞재회했을 때
A
안정 애착
B
불안정 회피애착
C
불안정 저항애착
D
불안정 혼돈애착
첫째, 유형은 안정적 애착으로 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있을 때는 편안하게 놀고 낯선 사람에게도 긍정적인 반응을 하고 어머니를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영유아발달 애착
파일이름 : 영유아발달 애착.hwp
키워드 : 영유아발달,애착
자료No(pk) : 180427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