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소련에 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업로드 YI

  • ceden320
  • 2020년 12월 16일
  • 3분 분량

소련에 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업로드




소련에 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소련에 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소련에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1. 들어가며


소련의 역사학계는 한반도와 그 주변부에서 일어난 3.1운동의 여러 방면을 고찰?분석하는데 크게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동시에 소련의 역사학계는 3.1운동의 범위와 강건함과 그 운동의 참가자들의 영웅성을 보여주는 사실적 자료들을 많이 수집, 정리하였으며 이를 일반화하는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3.1운동을 소련 역사학자들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만 입각하여 이들을 해석함으로써 편향된 시각으로만 해석?분석하였다는 문제점이 현재 드러나고 있다. 소련내의 학자들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에서 출발하여 한반도 내에서 3.1운동이 마치 러시아의 10월 혁명의 영향 아래 일어난 것으로 직접 관련지었다. 문제의 이러한 해석은 역사적 신뢰와 모순되어 3.1운동의 전체 과정과 연결되지 않으며, 진정한 원천과 기원에 대하여 직접적인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2. 3.1운동과 러시아 10월 혁명의 관계성


식민지 시대의 소련에서는 3.1운동에 대해 학문적으로 깊이 진전된 연구를 하지 못했던 것을 보인다. 그 당시에는 러시아의 10월혁명이 3.1운동에 혁명적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에서는 3.1운동에 대한 10월혁명의 직접적 영향력이라는 과장된 평가가 누그러져 있다. 소비예트 국가가 극동의 조선인들의 진보적 계층들에게는 추구해야 할 모델이 되었다고 언급하지만 조선의 모든 애국자들이 즉시 10월혁명의 깊은 의미를 이해한 것은 아니라고 평가하고 있다.


10월혁명이 제시한 모든 혁명적?민주적인 구호들이 조선민족과 진보적 민족 인텔리들에게 감정과 이성 양면 모두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은 한반도와 러시아가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미 1919년에는 러시아 영토인 원동지방에 10만 명 이상의 조선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볼셰비키혁명은 러시아 연방에 사는 조선인에게도 해방을 가져다주었다. 볼셰비키내각은 조선인과 중국인들을 차별하는 차르 정부의 법령을 폐지하였으며, 동시에 두 민족에 대한 고율의 세금도 낮추었다. 조선인과 중국인의 권리는 타민족들과 동등하게 되었으며, 러시아 원동에 살고 있던 조선인 근로자와 인텔리들은 빠른 속도로 10월혁명의 편에 가담하였고 일제와 반혁명을 반대하는 투쟁에 적극 참여하여 소비에트 정권의 지지에 나섰다. 10월혁명 이후에 조선에서 원동으로 이주하는 조선인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한반도에서 3.1운동의 소식은 러시아 극동에 살고 있는 조선인에게 즉시 반영되었으며 니콜스크 우수리스크 시에서 조직된 ‘조선민족의 사회’는 3월17일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조선인이 거주하는 러시아 각 지역에서는 시위와 데모가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시위참여자와 백파군인들과의 충돌이 있었다. 러시아 원동지역이 조선인들은 10월혁명에 적극 가담하였고 투쟁하였다. 또 이 투쟁을 일제의 압제로부터 민족의 독립을 완전히 해방시키는 반일투쟁과 밀접히 연관지었다. 그들은 일본 침략자들에게서 붉은 군대와 함께 한반도를 해방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걸었다. 이러한 믿음은 만주의 독립군들이 러시아 국내전쟁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1920년대에 이 신뢰가 상실되자 많은 독립군들은 만주로 되돌아갔다.

3.1운동이 실패한 이후에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는 한민족간의 정치세력이 급속한 속도로 분열되었다. 러시아 원동지역의 한민족 중 다수는 볼셰비키혁명사상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 그들은 공산주의자 입장에 서게 되었으며 또는 공산주의 그룹과 당을 조직하는 길에 들어섰다. 해외에 있던 다른 독립운동가들은 공산주의 이론을 거부하게 되었으며, 상해에서 조직된 임시정부를 지지하게 되었다. 소련의 학자들은 최근까지만 하여도 상해 임시정부의 활동을 부정적?편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들은 임정을 민족주의자들의 집단으로만 인정하였으며 마치 이 집단은 한민족들로부터 아무런 지지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묘사하였다. 또 임정은 미국의 편에 서서 자기들의 정책은 시행하지 못하는 괴뢰의 역할만 한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교조적 마르크스-레닌주의로만 평가받았던 상해 임정이 활동은 재검토되어야 하고 또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의 지도하에서 일어났던 한반도 해방운동 역시 전체 역사의 객관적 입장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조선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은 일본인들이 강점한 한반도 내에서의 미국의 정책은 알았지만 미국과 결탁한 일은 없으며 특히 미국 지배층의 앞잡이로 전락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많은 한인들은 볼셰비키당에 입당하였고 국내 전쟁의 종결 후에는 소비에트 정부와 당조직에서 책임 있는 지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들의 기본 목적은 일제 침략자들로부터 조선을 해방시키고 완전한 독립을 쟁취하는 데 있었다. 국내 전쟁시기에 일제를 반대하는 투쟁에서 이들의 역할은 오랫동안 객관적으로 해명되지 못했으며 어느 시기에는 묵과되기도 하였다. 1956년 소련 공산당 20차 당대회에서 흐루시초프가 소련 국민 앞에서 스탈린이 범한 범죄를 폭로한 이후 스탈린이 박탈한 소련 한인의 정치적 권리는 점차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원동과 시베리아에서 백파들과 일제를 반대하던 한인 빨치산운동을 분석하는 연구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스탈린 독재의 비합법적인 독재정치에 의해서 강제 노동수용소에 유배되었으며 일부는 총살을 당하였다. 현재의 입장에서 볼 때 한인 혁명가들도 10월혁명의 사상에 의해서 많은 피는 흘렸지만 이 사상은 결코 실현될 수 없었다. 10월혁명이 선포한 막연하지만 많은 민주적인 호소와 구호들조차도 전체주의 스탈린의 제도와 그의 추종자들이 짓밟아버렸기 때문이다.


우리는 고등학교에서 3.1운동이 러시아의 10월혁명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처럼 배웠지만 이것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문제로 보인다. 물론 우리 나라의 3.1운동이 인도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 것처럼 러시아혁명이 3.1운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 당시 지식인들이나 일반인들도 러시아혁명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 있었다는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소련에 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

파일이름 : 소련에서의 3.1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검토.hwp

키워드 : 소련,서,독립운동,인식,검토,소련에,서의,3,1독립운동에,대한

자료No(pk) : 11047153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중국 현대사의 출발점 5 4 운동 보고서 GY

중국 현대사의 출발점 5 4 운동 보고서 문서파일 (압축문서).zip 중국 현대사의 출발점 5 4 운동 오늘날 5·4운동은 중국에서 청년절, 대만에서는 문예절로 각각 기념행사를 할 만큼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 현대사에서 하나의...

 
 
 
일의 발견 다운로드 BU

일의 발견 다운로드 파일문서 (다운로드).zip 일의 발견 일의 발견에 대해서 .. 일의발견 [문서정보] 문서분량 : 16 Page 파일종류 : PPT 파일 자료제목 : 일의 발견 파일이름 : 일의 발견.ppt 키워드 : 일의,발견...

 
 
 

コメント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ceden320.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