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 다운로드 기업위험관리 다운로드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 레폿 QM
- ceden320
- 2020년 12월 6일
- 3분 분량
경영,경제 다운로드 기업위험관리 다운로드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 레폿
경영,경제 다운로드 기업위험관리 다운로드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
[경영,경제] [기업위험관리]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
기업위험관리
부제 :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
목차
리스크 매트릭스
Event Tree Analysis(ETA)
Fault Tree Analysis(FTA)
Fuzzy Event Tree Analysis(FETA)
Fuzzy Fault Tree Analysis(FFTA)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기법
베이지안 기법
퍼지기법
1. 리스크 매트릭스
일본 risk 관리 시스템 표준으로 제시하는 JIS2001에서 기술하는 risk matrix법은 정성적 방법(순위결정법 종류)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활용하는 접근법이다. 통산 3x3, 4x4의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한쪽 축에는 사태의 결과를, 또 한 쪽에는 사태가 일어나기 쉬운 정도를 쓴다.
발생의 명확성 : 고(5) = 때때로 발생.
중(3) = 비통 상시 등에 일시적으로 발생한 가능성 있음.
저(1) = 통상시 거의 생각 할 수 없지만 긴급사태나 인위
적인 실수가 겹쳤을 때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영향의 크기 : 중대(10) = 인체의 영향이 크다. 또는 제품이나 사업 환경
에 많은 영향이 있고 또 길게 만드는 것.
중정도(4) = 일시적인 영향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회복
가능한 것.
경미(1) = 영향이 적고 대처할 수 있는 것.
1. 리스크 매트릭스
리스크 매트릭스는 리스크 기반 테스팅의 한 단계입니다. 리스크 기반 테스팅이란 프로젝트 초기단계 부터 리스크에 미리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여러 리스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리스크 관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리스크 매트릭스는 3번째, 리스크 계획 활동에 해당합니다.
리스크 기반 테스팅의 절차
1. 리스크 매트릭스
리스크 매트릭스 가운데 논의 필요라고 적혀있는 부분과 십자모양의 선에 해당하는 리스크 아이템은 테스트 전략을 수립할 때 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1~2점 차이로 반드시 강력하게 테스트 해야 하는 부분과 테스트 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으로 나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리스크 매트릭스의 예
2. Event Tree Analysis(ETA)
Event Tree Analysis(ETA)는 사건 결과들의 기록과 사고에서 결과를 조합하는 초기사건과 하위사건들 사이의 상호 인과관계를 정의하는데 정확한 방법을 제공한다. 사건들을 분류함으로써 또는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서 가장 중요한 사건들이 증명된다.
ETA를 이용한 위험도분석 모델링의 예
ETA의 단계별 절차
촉발가능 사건과 발생가능 사건 분류
Event Tree 구성
확률 기법을 이용하여 각 사건 경로에 해당하는 발생확률 계산( 몬테카를로 기법, 베이지안 기법 등)
경제적 손실과 발생확률을 곱하여 각 경로의 위험도 추정 후 합하여 전체 위험도 평가
2. Event Tree Analysis(ETA)
ETA의 특징은 다양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기사건 분석에 적용, 독립적인 사건이나 동시발생적인 사건을 다루는데 이용하며 사건의 순서를 기술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가정한 초기사건들로부터 야기되는 내재 사건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ETA의 한계는 중간에 일어나는 사건들의 원인을 명확한 방법으로 묘사하지는 못하며 또한 다른 가지들이 상호 의존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3. Fault Tree Analysis(FTA)
FTA는 장애 원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안전성 및 신뢰성에 관한 설계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시스템 장애는 결점 트리의 가장 상위 부분에서 발생하며 다음 단계는 어떤 원치 않는 동작이 시스템 오작동에 책임이 있는지를 고려한다. 여기서 시스템 장애란 부정확한 이벤트, 예상치 못한 데이터 또는 동작이 된다.
왼쪽의 그림은 FTA의 표기법이다.
FTA의 단계별 절차
문제의 정의
Fault Tree의 구성
Fault Tree(minimal cut set 결정)
최소 단절 집합의 분류
3. Fault Tree Analysis(FTA)
FTA를 적용한 페이스메이커 장애의 원인 분석이다.(Douglass, 1999)
이 기법은 복잡한 시스템과 상위 및 하위 레벨 시스템 고장 모두에도 사용될 수 있다.
FTA의 특징은 Fault Tree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점검하기가 어렵다는 것과 부분적인 파괴상태를 다루기 어렵고 오직 두 가지 상태의 구성요소를 위해 계획된다. 또 공통의 원인 또는 공통된 모드의 파괴를 포함하는 경우 상당한 수고를 요하며, 사건의 연속적인 의존관계와 파괴모드 사이의 상호 의존관계를 묘사하는데 부적당하다. 마지막으로 파괴데이터의 부정확성은 사고확률을 계산하는데 불확실성을 야기한다.
4. Fuzzy Event Tree Analysis(FETA)
FETA는 퍼지 개념을 도입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ETA와 퍼지 기법의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는 방법으로 소속도와 그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학적 변량에 따른 퍼지 집합의 소속도
Baldwin의 Ramp함수[Hadipriono, 1986]
5. Fuzzy Fault Tree Analysis(FFTA)
FETA는 분석된 구성요소의 입출력 자료를 언어학적 변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장된 FTA로서 시스템의 부분적 연결 상태와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고려될 수 있으며 평가된 구성요소와 함께
[문서정보]
문서분량 : 18 Page
파일종류 : PPTX 파일
자료제목 : 경영,경제 다운로드 기업위험관리 다운로드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
파일이름 : [경영,경제] [기업위험관리] 여러 가지 분석방법의 이해와 설명(정량적 분석법의 종류와 소개).pptx
키워드 : 경영,경제,기업위험관리,여러,가지,방법,이해와,설명,정량적,법
자료No(pk) : 14061010
Комментарии